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0)
신조어(유행어)로 읽는 마케팅 트렌드_뉴트로, 힙트레이션, 할매니얼, 촌캉스, 그래니룩패션, Y2K : 활용되는 핀셋마케팅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패션 & 문화 관련 트렌드를 들고 왔습니다. 문화야 말로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분야죠. 그런만큼 관련된 신조어도 익숙하고, 기업에서 마케팅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더욱 많습니다. 그럼 우리 실생활 문화속에 녹아있는 신조어 한번 알아볼까요? 그럼 스타트! 뉴트로란? 뉴트로란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입니다. 레트로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이르는 단어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들이 그 중심에 서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레트로가 과거를 그리워하며, 그 시절 유행했던 것을 꺼내 향수를 느끼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뉴트로는 과거와 같은 것인데 이를 즐기는 사람들에겐 마치 신상품처럼 새롭게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남들에겐 과거..
신조어로 읽는 마케팅 트렌드_짠테크(무지출챌린지), 앱테크, 디지털폐지줍기, 체리슈머, 투잡 안녕하세요 여러분 서울살이 마케터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신조어로 읽는 마케팅 트렌드 2탄, 최근 소비 관련을 주제로 가져왔습니다. 경제가 침체되고 요즘 물가도 너무 많이 오르고 있죠. 이 포스팅을 적고 있는 저도 물가가 너무 올랐음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살기 팍팍한 요즘 트렌드로 한번 읽어볼게요! 스타트! 짠테크란? 짜다(짠) + 재테크 합성어로 물가가 오르며 지갑이 넉넉치 않은 2030세대가 생활비를 최대한 줄여 재테크를 한다는 의미인데요. 고강도 절약을 통해 자금 유출 규모를 줄이는 것이죠. 크게 종류를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첫번째, 소비 대상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동일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변경하는 것이죠. 예를 들자면, 기존 이용하던 통신사에서 알뜰폰 요금제로..
신조어로 읽는 마케팅 트렌드_펫팸족, 펫테리어, 펫테크, 펫코노미 반려동물 트렌드 파헤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평소와 살짝 다르게 트렌드 읽어보기 라는 주제를 가져왔는데요, 반려동물 관련 트렌드가 급상승 하면서 관련 신도어도 탄생하고 있는 요즘, 쭉 정리해보면 좋겠다 싶어 가져와보았습니다! 트렌드와 함께 이 트렌드를 잘 녹인 기업 마케팅 사례도 소개해볼게요. 그럼 스타트! 펫팸족이란? 반려동물(Pet)+가족(Family)가 합쳐진 신조어 입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생활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펫팸족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사료나 간식 동물병원 뿐만 아니라 가전제품이나 다양한 서비스 시장까지 나아간 펫테크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펫팸족이 증가한 사유는 1인가구 증가와 노인가구 증가를 뽑을 수 있는데요, 혼자 살아가는 사회가 되어감에따라 반..
마케팅 기본용어 : 인터랙티브 콘텐츠 마케팅(Interactive Content Marketing) 정의와 활용 예시(레드 불 Red Bull)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려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 입니다! 오늘은 인터랙티브 콘텐츠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점점 창의력 넘치는 마케팅이 눈길을 끄는 요즘, 그 정점에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마케팅의 정의와 기업들이 마케팅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성공사례까지 한번에 쭉 살펴봐요! 그럼 스타트! 인터랙티브 콘텐츠 마케팅(Interactive Content Marketing) 이란? 인터랙티브 콘텐츠 마케팅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입니다.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참여와 창의성을 유도해 브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인상을 깊게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마케팅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요, 첫번째는 퀴즈와 설문조사의 형태..
마케팅 기본용어 : 비슷해보이는 '소셜타이징'과 '코즈마케팅' 정의와 적용사례, 차이점까지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 입니다! 오늘은 소셜타이징과 코즈마케팅 비슷해보이는 두 개념을 자세히 알아보고 각각의 적용사례와 차이점까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마케팅을 공부하다보면 비슷한 개념들이 다른 용어로 쓰이고 있는 상황이 꽤 있는데요, 완전히 똑같은 의미를 지닌 경우보다는 비슷하면서로 다른 개념이 더 많은 것 같아요. 오늘 이 포스팅을 통해 두 개념 꽉 잡고 가보자구요~! 소셜타이징(socialtising) 이란? 소셜타이징(socialtising)은 사회적 관계(social network)와 광고(advertising)의 합성어 입니다.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상품에 대한 광고나 홍보물을 제작해 유통시키는 광고 형태인데요. 소비자가 자신의 관심사 안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
마케팅 기본용어 AAR (Auto Applied Recommendation) 추천자동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다들 내가 검색했던 결과를 바탕으로 추천해주는 온라인쇼핑몰, OTT 등을 경험해보신 적 있으시죠? 해당 현상을 AAR (Auto Applied Recommendation) 추천자동작용이라고 부르는데요! 오늘은 AAR의 정의와 함께 어떻게 마케팅에서 활용되는지 알아보려고 해요! 그럼 스타트! AAR (Auto Applied Recommendation) 이란? AAR은 추천 자동 적용으로 주로 기술과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시스템이 자동으로 추천을 생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요, 이는 사용자나 조직에게 특정 제품, 서비스, 또는 활동을 추천함으로써 경험을 개선하거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데 활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
마케팅 기본용어 : NPS (Net Promoter Score) 브랜드 고객 충성도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항입니다. 오랜만에 용어정리로 돌아왔는데요, 마케팅의 최종 목적, 브랜드가 추구하는 것은 결국엔 고객들이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꾸준히 구매하고 그로 인해 브랜드가 성장하는 것일테죠! 그러기위해 마케팅을 지속하면서 주기적으로 살펴봐야 할 지표들이 여럿 존재합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NPS (Net Promoter Score) 브랜드 고객 충성도에요. 오늘은 NPS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측정하며, 글로벌 기업들은 이 지표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게요! NPS (Net Promoter Score)란? NPS는 "Net Promoter Score"의 약자로, 기업이나 서비스의 고객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
마케팅 기본용어 Postback(포스트백), Last Attribution, 오가닉, 룩백윈도우, Fraud(프로드)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서울살이 마케터 푸하앙 입니다! 오늘은 마케팅 기본용어 중에서도 앱마케팅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오가닉, 프러드, 포스트백, 라스트 어트리뷰션, 룩백윈도우, CTIT, ITET 등.. 다양한 마케팅 용어들이 많습니다! 앞으로 종종 앱마케팅 관련해서도 다뤄볼 예정이에요. 그럼 앱마케팅 용어들에 대해 정의와 어떻게 사용하는지 등등 알아보러 가볼까요? 렛츠고! 포스트백(Postback) 이란? 광고 캠페인의 성과나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나 광고 네트워크게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광고 운영에 대한 결과보고라고 봐도 무방한데요. 보통은 웹사이트나 앱 내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해당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포스트백 예시를 ..
마케팅 기본용어 ERP, EERP 정의 및 도입 사례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서울살이 마케터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ERP와 EERP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마케팅 실무에 바로 쓰이는 용어들은 아니지만, 어디선가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기업자원관리시스템과 전자기업자원관리시스템의 약자입니다! 그럼 오늘은 해당 두 약자에 대해 알아보고, 왜 중요한지, 도입한 사례에는 어떤 기업을 들 수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란? ERP란 기업자원관리시스템의 약자로, 기업 내 여러 부서와 작업을 통합하여 전사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며,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각 기업은 많은 부서와 활동을 유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죠.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다양한 정보..
마케팅기본용어 STP전략(세분화,타겟팅,포지셔닝) 왜 중요할까? 정의 및 사례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서울살이 마케터 푸하앙 입니다. 오늘은 마케팅 기본용어 중 STP 전략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경영학을 배울 때 이론으로도 많이 접하는 내용인만큼, 정의부터 시작해 사례에 대입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오늘 전달드리는 정보도 여러분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내용 시작해볼게요! STP 전략이란? STP 전략은 세분화(Segmentation), 타게팅(Targeting), 포지셔닝(Positioning)의 약자로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특정 시장의 특정 고객층에게 제공하고 홍보하고 판매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전략과 목표에 따라 공략할 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전체 시장을 세분화하고 목표 고객을 선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