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마케팅용어

마케팅기본용어 : GA4 구글 애널리틱스 기초용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디지털 마케팅을 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물론, 개인적으로 수익형 블로그나, 쇼핑몰을 운영하고 계신분들도 구글 애널리틱스 참 많이 활용하실텐데요. 지난 7월부터 구글에서 기존 UA 대신 구글 애널리틱스 4 사용으로 본격 전환되었죠! 저 또한, 이 변화로 회사에서 많은 골치가 아팠었는데요. 뭐든지 변화에 적응하는건 재밌으면서도 힘든 일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기존 UA와의 차이점보다는 GA4의 기초용어들을 단편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해요! 이해해야 사용도 하는거니까요! 차근차근 다가가보자구요 그럼 스타트!

GA4 기본구조부터 알아보자

GA4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이 제공하는 웹 분석 도구로 웹사이트 트래픽을 추척하고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활동과 성과를 제공하는 웹 애널리틱스 서비스 입니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영리적인 목적에서 광고활동을 할 때, 어떤 광고가 효과가 괜찮았는지, 해당 웹페이지에서 이용하는 패턴은 어떤지 파악을 해야 할텐데요. 이런 데이터들을 GA4가 다 알아서 모아주고, 분석해준다고 보면 됩니다.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는 사용자 / 세션 / 이벤트로 나뉩니다. 사용자는 GA4가 식별하는 유저 즉, 사람을 의미하고, 세션은 방문에 대한 식별단위 (보통 30분단위, 해당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종료) 입니다. 이벤트는 세션 내에서 사용자들이 하는 행동들을 의미하죠. (페이지뷰, 스크롤, 구매 등..) '어떤 사용자가 얼마나 방문해서 해당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가' 딱 우리가 분석도구에게 궁금한 정보의 일체죠? 사용자 > 세션 > 이벤트 순으로 상위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GA4 기초용어

자 그렇다면, 이제 GA4에서 다루는 용어들을 짧게 쭉 이어서 설명해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1. 사용자 (users) : 웹사이트나 앱을 방문한 개별 사람을 의미합니다.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수라고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pc로 접속했다가 모바일로 접속했다면 여러 사용자로 등록되는데요. 이는 고유 사용자 보다는 "방문자수" 라고 이해하시는 게 도움이 되실거에요! 

2. 세션 (session) :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접속하는 하나의 단위로, 일정 기간 내 웹이나 앱에서 발생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들어와서 이탈을 하지 않은 단위로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활동이 멈춘 뒤 30분 뒤 종료(=이벤트 시작 이후 다른 이벤트 없이 30분이 지속될경우)되는데, 이 30분이란 시간은 변경도 가능합니다. 만약 타임아웃 이후 다시 사용자가 세션에 재방문한다면 "사용자수 1 / 세션 수 2" 로 기록됩니다. 

3. 이벤트 (event) : 사용자의 행동 혹은 사용자 정보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취한 것이 기록되는 것인데요. 링크를 클릭하거나, 어떤 자료를 다운받거나, 구매한 행위 모두 기록되고, 추적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우리 웹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다는건 정말 활용하기 좋은 정보겠죠?

4. 참여 (engagement) / 참여세션 (engagement session) : 참여는 사이트나 앱의 사용자와 상호작용 자체를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방문하여 사용하는 것 자체를 뜻합니다. 그에 비해 참여세션은 무의미한 접속 수를 제외하고 페이지 조회나 클릭 등의 행동을 한 사용자의 세션을 구분해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0초 넘게 지속하거나 전환 이벤트가 발생했거나, 페이지 또는 화면 조회가 2회 이상일때 참여세션으로 구분됩니다.

5. 기기ID (device-ID) / 유저ID (User-ID) / 구글신호데이터(Goole Signals) : 기기ID란 웹 또는 앱의 익명처리된 고유 사용자에 대한 식별이며, 유저ID란 사용자별 고유 아이디를 의미합니다. 또한 구글 신호데이터는 구글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뜻합니다. 이 정보를 통해 구글 계정에 로그인했거나 광고 개인 최적화를 설정한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어요.

6. 조회수 (views)  / 사용자당 조회수 (views per uesrs)  :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나 화면을 본 횟수를 뜻합니다. (page_view + screen_view) 페이지뷰는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를 본 경우를 뜻하고, 스크린뷰는 앱에서 앱 화면을 본 경우를 뜻해요! 사용자가 어떤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본 횟수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분석해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등 페이지 개선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7. 잠재고객 (Audience) /  소스 (Source) : 1개 이상의 특성이나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모임입니다. 해당 패턴이 자사의 브랜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캐치해야겠지요? 소스는 해당 트래픽이 유입된 경로를 나타냅니다.

 

8. 기여분석 (Attribution) / 기여분석모델 (Attribution Model) : 사용자가 전환할 때까지의 경로 중 전환에 유리하게 작용된 포인트에 전환 기여도를 부여하는 과정을 기여분석이라고 합니다. 이어서 기여분석모델은 해당 전환 기여도를 부여할 때 작용하는 특정 규칙 자체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ga4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ga4를 살펴볼때 알아두면 좋은 각종 기초용어들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ga4는 온라인강의로 가이드가 잘 나와있기도 하고, 난이도도 낮은 편이니 꼭 현재 비즈니스를 하고 있지 않으시더라도 한번쯤 체험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