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마케팅용어

마케팅기본용어 : DAU, MAU, 스크롤 뎁스, MRR, VOC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마케팅 기본용어 설명에 대한 포스팅을 들고 왔어요!  DAU, MAU, 스크롤 뎁스, MRR, VOC 어디선가 한번쯤 들어봤을만한 용어죠~? 차근차근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AU(Daily Active Users)와 MAU(Monthly Active Users)

 

DAU와 MAU 모두 사용자의 활동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인데요. DAU(Daily Active Users)는 특정 서비스, 앱 또는 플랫폼을 "하루 동안" 사용한 고유 사용자의 수를 의미합니다. 한사람이 여러번 해당 서비스를 이용했다고하더라도 1번만 체크됩니다. 즉, 특정 앱이 하루에 10,000명의 DAU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해당 앱이 하루에 약 10,000명의 고유 사용자에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같은 방향으로 MAU(Monthly Active Users)는 DAU와 달리 "한달 동안" 사용한 고유 사용자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 지표들은 디지털 플랫폼이나 앱의 성과 및 사용자 참여를 평가하는 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 뎁스 (Scroll Depth)

 

스크롤 뎁스는 웹페이지나 앱에서 사용자가 얼마나 아래로 스크롤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얼마나 읽거나 탐색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현되며, 사용자가 페이지의 전체 높이 중 어디까지 스크롤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스크롤뎁스를 파악하하는 것은 웹페이지 또는 앱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먼저 사용자 참여 평가가 가능해집니다. 스크롤 뎁스를 측정하면 사용자가 콘텐츠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페이지 아래로 오랫동안 스크롤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있겠죠! 다음으로, 컨텐츠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어떤 부분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흥미로운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즉, 사용자가 특정 섹션으로 스크롤을 하지 않거나 이탈한다면, 해당 부분에 개선이 필요하다고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MRR (Money Recurring Revenue)

 

MRR은 월별 반복 수입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말 그대로 월 기준 발생하는 반복적인 수입 즉, 통상적인 수입의 합계를 의미하는데요, SaaS (Software as a Service) 기업 등에서 서비스 구독 모델의 성과를 측정하고 비즈니스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구독 모델은 넷플릭스, 티빙 등의 OTT 서비스들이 있겠네요!

 

VOC (Voice of Customer)

 

VOC는 고객의 의견, 피드백,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고객의 목소리를 파악하고, 제품 및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특히 VOC를 잘 사용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에어비앤비와 같이 리뷰가 큰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들에서 두드러지는데요. 에어비앤비는 고객 리뷰를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며, 이러한 리뷰들을 통해 호스트 및 게스트의 평판을 형성하고 운영 개선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용어들을 설명해봤습니다! 오늘 제가 정리드린 내용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칠게요! 그럼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