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마케팅용어

그로스해킹 / 그로스마케팅 관련 마케팅용어정리 : MVP(Minimum Viable Product), PMF(Product-Market Fit)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2탄으로 준비한 그로스 해킹, 그로스마케팅 관련 용어정리 입니다. 오늘은 약자로 쓰이는 용어 2가지를 들고왔습니다! 빠르게 시작해볼게요 스타트! 그로스 해킹이나 그로스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 용어정리 1탄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들을 참고해주세요!

 

2023.11.20 - [광고 마케팅용어] - 마케팅분야, 마케팅용어 정리 : 그로스 마케팅이란? (퍼포먼스 마케팅과의 차이점, AARRR 모델)

 

마케팅분야, 마케팅용어 정리 : 그로스 마케팅이란? (퍼포먼스 마케팅과의 차이점, AARRR 모델)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그로스 마케팅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해요! 마케팅도 다양해지고 세부 분야가 나눠지면서 같은 마케팅이라고 해도 붙여진 이

marketing-seoul.tistory.com

 

2023.11.21 - [광고 마케팅용어] - 그로스마케팅, 그로스해킹 관련 마케팅용어정리 : 린(Lean), 퍼널(Funnel), 컨버전(Conversion), A/B 테스트, 애자일(Agile), 스크럼(Scrum), 칸반(Kanban), 스프린트(Sprint)

 

그로스마케팅, 그로스해킹 관련 마케팅용어정리 : 린(Lean), 퍼널(Funnel), 컨버전(Conversion), A/B 테스

안녕하세요 여러분! 마케팅하는 서울살이 푸하앙입니다. 오늘은 어제 정리한 그로스 마케팅에 연장선으로, 그로스 마케팅 / 그로스해킹 시 많이 적용되는 마케팅 용어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marketing-seoul.tistory.com

 

MVP(Minimum Viable Product)

 

MVP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초기버전을 의미하는 "최소 기능 제품" 입니다. 즉, 완제품은 아닌 것인데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소한의 노력과 리소스로 빠르게 시장에 도입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고 제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어차피 수정이 불가피하다면, 너무 많은 리소스를 넣는 것보다 최소한의 기능으로 만들고 검증하고자 하는 하나의 핵심 가설만 검증하는 것이죠. 이를 정리하자면, MVP의 특징은 1). 최소한의 기능만 포함. 2).최대한 빠르게 출시. 3).핵심가설 테스트/검증. 4). 최소한의 비용 투입 5). 빠른 피드백 수집 5). 그로 인한 시장 수용 가능성 확인 입니다.

 

PMF(Product-Market Fit) : 제품-시장 적합도

 

이 지표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한 기업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인데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충분한 수요와 성공을 이루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즉, 제품이 시장에서 얼마나 잘 수용되고 소비자의 요구에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죠. 시장에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때 먼저 MVP를 내놓고 이를 통해 핵심 가설을 검증한 이후, 수정작업을 통해 해당 방향성을 가지고 시장을 공략하며 사업을 성장시키는 단계에서 확인해봐야 하는 지표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결과가 나와야 PMF를 달성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첫번째, 높은 고객만족도 입니다. 고객이 만족한다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요소입니다. 두번째, 시장수요의 증가입니다. 슈요가 상승한다는 것은 시장 내 입지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객들이 제품을 필요로 하고 원하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겠죠. 세번째, 매출 성장입니다. 매출이 늘어났다는 것은 수요가 늘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의미하죠. 네번째, 높은 고객 유지율 입니다. 해당 제품 및 서비스가 마음에 든다면 고객들도 장기적으로 이용하고 유지하겠죠. 다섯번째, 경쟁우위 확보 입니다. 위 4가지를 모두 달성했다면 이미 특정 시장에서 경쟁자들보다 경쟁우위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부분은 데이터적으로 살펴보자면, CPC가 낮게 나오거나, 오가닉 유저의 비율이 높거나, 재방문율이나 NPS(순고객추천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PMF를 달성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PMF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초기에 MVP로 빠르게 실험하고 고객 피드백을 받아 제품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ric Ries의 "린 스타트업"과 Steve Blank의 "고객 개발" 등의 책에서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지속적으로 시장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제품을 수정하며 Product-Market Fit을 찾는 방법론에 대해 다루고 있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MVP와 PMF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제가 마케팅 일을 했어도 이렇게 한 브랜드의 제품 런칭부터 함께 진행해본 경험은 없어서 그런지, 이번 그로스 해킹 및 그로스 마케팅 부분은 정말 흥미롭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께서도 조금의 인사이트라도 얻으셨길 바래보면서! 포스팅은 여기서 마칠게요! 그럼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