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서울살이 마케터 푸하앙 입니다~! 오늘은 온라인 광고를 운영하면서 성과를 측정할 때, 자주 보이는 용어들을 정리해볼게요! 마케터 입장에선 꼭 알아둬야 하는 기본용어이고, 광고주분들 입장에서는 대행사와 소통 및 직접 광고를 운영하실 때, 알아두면 오해도 없고! 이해도 편한~ 그러한 용어들 입니다! 특정 광고가 아닌 전반적인 성과측정에 사용되는 용어들이니까요, 참고해주시면 무조건 도움되리라 생각합니다~!
1. CPC(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CPC는 내 광고를 사용자가 클릭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광고를 클릭하게 되면 랜딩페이지로 유입되는데요, 내가 홍보하고자하는 페이지로 유입이 되었을때, 비용을 지불한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클릭 수에 따라 광고 비용을 정산하게 되며, 주로 SA(Search Ads) 광고에서 사용되나, 전반적인 모든 온라인 광고에서 기본적으로 다루고 있는 수치 입니다! 이 개념은 PPC(Pay-Per-Click, 클릭당 지불 광고)와 동일하게 쓰이는데요, 특정 광고가 눈에 띄는 부분(노출)은 고려하지 않고, 실제로 클릭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광고비가 청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CPA(Cost Per Action, 행동당 비용)
CPA는 내가 원하는 특정 행동을 사용자가 했을 때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구매, 회원가입, 설문참여 등이 CPA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CPA는 보다 자세한 행동에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드렸던 CPC보다는 더 높은 비용이 청구되는데요, 하지만 내가 원하는 정확한 목표를 이뤘을때만 진행되기 때문에 중적으로 광고 성과를 창출하고 ROI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요소인만큼 작동 방식을 알아볼까요?
첫번째로 목표를 설정해야겠죠, 특정 행동을 유도하도록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데요, 제품구매나 회원가입, 앱다운로드 등이 있겠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텐데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매력적인 설계가 필요합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다면 할인혜택이나 무료배송 같은 유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광고를 라이브하고 난 뒤에는 성과를 측정해야 겠죠! 추적 및 측정을 통해 CPA가 잘 잡히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CPA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일어난다면 아예 CPA 측정이 어려워지고 광고 노출이 잘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후 광고 효과를 한번 보시고 비용을 지불하시면 되겠습니다.
3. CPT(Cost Per Time, 시간당 비용)
Time 단어가 사용된만큼, 그 광고가 실질적으로 운영된 시간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네이버 PC 메인의 롤링보드가 있겠습니다. CPT로 측정되는 광고들은 비용 단위가 일반적인 CPC와 비교하면 매우 차이가 큰 편입니다.
4. CPM(Cost Per Mille, 천당 비용) / CPV(Cost Per View, 뷰 당 비용)
CPM은 광고가 1000회 노출되었을 때마다 비용이 발생합니다. 주로 DA(Display Ads)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는 편입니다. 얼마나 오래 시청했느냐를 따지기보다는 얼마나 많이 노출했냐를 중심으로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를 들자면 유튜브 광고에서 영상의 전,후,중간에 뜨는 범퍼광고가 CPM을 사용해 비용을 정산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CPV는 광고주가 동영상 광고를 노출시킨 후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을 실제로 시청한 경우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 방식을 의미합니다. 시청자가 일정 시간 이상 시청했을 경우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즉, 해당 영상을 틀자마자 페이지를 나가는 등의 노출만 이뤄졌을 때에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5. CPS(Cost Per Sale, 판매당 비용)
CPS는 광고를 실제로 판매하는 경우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판매 실패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형식이며 판매 성과를 직접적으로 학인하고 비용을 지불할 수 있으니 아마 모두들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광고 효과를 평가하고 비용 대비 효과를 유지하는데에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것들인데요, 과고 전략을 구축하고 바로 실행하기 위해 이러한 지표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광고주의 입장에서도 대행사가 주는 결과리포트를 볼 때, 설명을 들을 때, 이런 부분들을 이해하고 있다면, 더욱더 자료들을 보는 시각이 넓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의 마케팅 기본용어 정리는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에 더 알찬 정보로 다시 만나요! 감사합니다^^
'광고 마케팅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데이터의 정의 및 중요성과 이를 활용한 마케팅 예시 (0) | 2023.07.29 |
---|---|
마케팅 기본개념 (AIDMA, AISAS) 마케팅 프로세스 모델 알아보자 (0) | 2023.07.28 |
마케팅 기본용어 (SA, DA) 온라인 마케팅 용어 정리 (0) | 2023.07.28 |
마케팅용어 핵심성과관리지표 KPI, 왜 중요할까? (0) | 2023.07.27 |
마케팅 기본용어 (ROI와 ROAS) feat. ROAS가 높으면 무조건 좋은 성과일까? (1) | 2023.07.27 |